잡글) civitAI 랭킹 근황

이미지
 요즘 LoRA 학습에 푹 빠져있는데 LoRA가 잘 만들어졌는지 테스트 하려면 테스트할 프롬프트가 필요하다.  필자는 매번 프롬프트에 아무거나 넣어보다가 잘되면 기록해놓는데 정말 잘 나온 애들은 civitAI에 올려놓는다.  https://civitai.com/images/7622855 요런거 개인적으로 잘나왔다고 본다. 암튼, 그래서 civitAI에 올린 프롬프트와 파라미터를 찾으러 갔는데 우측에 브론즈 딱지가 붙어있는 것을 봤다. civitAI SDXL 크리에이터 93위... 베이스모델 49위... 음.... 100위 안에 랭크인 됬는데 브론즈다. 생각보다 모델 올리는 사람이 없나 보다.  49위한 베이스모델은 정말 초창기에 SD 1.5모델을 올렸던게 인기가 좀 있었던거 같다. 사실 그당시엔 아무거나 올려도 열광할때라 선점효과가 강력했다. 지금은 업로드하는 사람이나 다운받는 사람이나 굇수들만 남아서 어중간한 모델은 인기가 없는 거 같다 ㅠㅠ (AnimagineXL 3.0이 너무 강력해서 그만..) 그리고 SD모델이 점점 커져서 SDXL같은 건 정말 좋은 GPU를 갖고 있는 유저들만 돌릴 수 있고 NAI나 기타 AI 생성 서비스가 좋아져서 굳이 civitAI까지 안 가도 되긴하다. 할부로 긁은 RTX4090이 언제까지 버틸련지... 어제 엔비디아 블랙웰 기사를 보는데 GPU가격은 천정부지에 소비전력과 크기도 만만치 않다... 물론 성능도 중요하지만 쿼드로~지포스급에선 성능보단 메모리 싸움인데, 이번 5000대도 24기가 달고 나오면 굳이 넘어가야하나? 싶다. 물론 엔비디아가 장사를 잘한다면 32GB나 48GB를 달고 나오겠지 어디까지나 희망사항이다. 근데 랭크인하면 이제 뭐함...? 네이버 생성형 AI쪽 취직 좀 시켜줬으면 GPU 개고순디

야 너도 ComfyUI 쓸 수 있어. 스테이블 디퓨전 고수들만 쓰는 ComfyUI 기본 세팅하기 1

이미지
  필자의 ComfyUI 셋팅(상남자라 LoRA, I2I는 안쓴다) 필자는 얼마전에 ComfyUI를 세팅하고 생성해봤다. 근데... 개좋다... 1년이 넘는 시간동안 Automatic1111의 UI를 써왔지만, 대충 그림 뽑아보는건 ComfyUI 쪽이 나은거 같다. 근데 많은 분들이 ComfyUI 세팅을 어려워해서 그냥 기존에 사용하던 Automatic1111을 그대로 쓰거나 novelAI같은 웹서비스로 넘어가는거 같다.  근데 Animagine XL3.0이 나오고 Automatic1111에 버그가 있다는 것이 몇몇개 밝혀지면서(패치됬나?) ComfyUI라는 것에 관심을 갖는 분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준비했다. ComfyUI를 Automatic1111에 최대한 비슷하게 세팅하는법. 이 세팅을 그대로 따라하면 생성한 파라미터가 이미지 파일에 저장된다. 그럼 꿀뷰나, Automatic1111 webUI에서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Automatic1111에서 같은 파라미터로 생성해도 같은 결과가 나오진 않는다) 꿀뷰로 본 생성 파라미터 A1111 UI로 본 파라미터 고럼 이제 실제 ComfyUI를 세팅해보자. 물론 설치는 해놓았을 것이라 본다! ComfyUI 초기화면(필자는 ComfyUI-Custom-Scripts를 설치해놔서 조금 다를 수도 있다.) 초기화면을 보면 실제 세팅할 수 있는 것들이 별로 없다.. 눈에 보이는 네모박스들은 '노드'(node)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모델을 고르고 파라미터를 세팅하고 프롬프트를 입력한다. 각 노드들은 입력과 출력이 존재하여 노드내에서 값을 세팅하거나 입력값을 받아서 처리한다. 입력과 출력을 마우스로 잘 이어주어야한다....(사실 이게 가장 귀찮음) KSampler라는 노드에선 model과 positive, negative 프롬프트, latent_image를 입력으로 받아서 Latent를 출력해준다. 그리고 seed~denoise는 KSampler에서 세팅가능한 파라미터이다. 참고...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고품질 그림을 생성하는 팁 몇 가지(3. hire.fix)

이미지
 팁 1 , 2 에서는 퀄리티 태그와 네거티브 프롬프트를 이용하여 높은 퀄리티의 그림을 생성하는 법을 보았다. 계속 프롬프트 이야기만 할 수는 없으니, 이제 파라미터 쪽으로 넘어가려한다. 이번에 다룰 주제는 hires.fix(High resolution fix)이다. 2023년도 후반에는 SDXL로 넘어오면서 기본 생성 해상도가 증가했고 hires.fix 까지 사용하는 코어 유저들은 img2img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중요성이 떨어지긴 했으나, 필자같이 img2img가 귀찮은 유저들은 hires.fix를 주로 이용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hires.fix를 사용하면 단번에 그림의 디테일이 상승하기 때문에 일단 알아두자. 특히 필자는 배경을 생성할때 hires.fix가 필수 옵션이라 생각하고 애용하고 있다. high resolution fix = 고해상도 고치기다. 고해상도 생성시에 그림이 틀어지거나 퀄리티가 낮아지는 현상을 고쳐주는 옵션이다. 이 옵션이 왜 나왔냐면... 해상도: 1336*2032 해상도가 높으면 괴물이 나온다..... 참고로 hires.fix사용하기 전은 아래와 같다. 해상도: 832*1312 그리고 여기에 hires.fix를 이용하면? 해상도: 1080*1704 대충 필요성은 파악됬는가? hires.fix를 이용하면 저해상도로 생성하던 그림을 대강 유지하면서 고해상도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실 SDXL로 넘어오면서 1K가 넘는 해상도도 쉽게 생성할 수 있지만, SD1.5 시절에는 정말 필수 옵션이었다. 아무리 SDXL이 좋다 해도 해상도가 높아버리면 괴생명체가 나오는 것은 피할 수가 없기에 hires.fix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그럼 이제 진짜 hires.fix를 알아보자. hires.fix 사용해보기 hires.fix옵션을 키면 다음과 같이 upscaler, hires steps, denoising strength, upscale by 옵션을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이 옵션을 잘 설정해야 좋은 그림이 나온다. 그럼 어떻게 ...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고품질 그림을 생성하는 팁 몇 가지(2. 네거티브 프롬프트)

이미지
 지난 글( 1. 퀼리티 태그 )에선 퀄리티 태그가 어떤 것인지 보았다. 이제 실전으로 이를 활용한 네거티브 프롬프트를 짜는 법을 보자. 네거티브 프롬프트란, 생성할 그림에서 반대 속성을 갖 프롬프트를 의미한다.  네거티브 프롬프트에는 내가 원하지 않는 값을 넣어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네거티브 프롬프트로는 nsfw, worst quality, low quality, lowres, text..  등등 여러 가지 들어간다.  그런데 왜 네거티브 프롬프트를 사용해야 할까? positive 프롬프트에 masterpiece만 넣어도 괜찮지 않을까? 백문이 불여일견. 일단 해보자. 일단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Steps: 30, Sampler: Euler a, CFG scale: 9, Seed: 123456789, Size: 832x1312, Model hash: 325d0e75d7, Model: remaster+, VAE hash: 63aeecb90f, VAE: sdxl_vae.safetensors, ENSD: 31337, Pad conds: True, Version: v1.7.0 positive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다. 1girl, solo, ponytail, long hair, light blue hair, pink eyes, frilled dress, layered dress, intricate, embroidery, sidelocks, frills, general 이제 여기서 best quality, masterpiece의 유무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아무리 보아도 best quality, masterpiece를 넣은 게 좋아 보인다. 그런데 여기서 negative에 worst quality를 추가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X,Y축은 각각 positive와 negative 프롬프트 네거티브에 worst quality와 low quality를 넣는 것만 해도 꽤 괜찮은 품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